TMF ETF. 금리 인하 시 수십 % 상승 수익을 잡아보자

이번 글에서는 ‘TMF ETF’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의 본문에는 ‘TMF ETF’ 가 무엇인지에 대한 소개와 최근의 주가 동향, 연준의 금리 인하 등의 정보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TMF ETF

 

TMF etf. 미국 20년 장기 채권 3배 레버리지 etf

 

TMF etf는 미국 20년 채권인 TLT ETF 3배 레버리지 펀드입니다. 미국 20년 채권인 TLT 지수를 추종합니다. 3배 레버리지 펀드라는 것은 TLT의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TMF를 투자하기 위해서는 우선 TLT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TLT는 미국 20년 이상 국채 etf를 뜻합니다. 미국의 블랙록 회사가 출시한 상장지수 펀드이며 미국 채권시장에 투자합니다. 이 펀드는 잔여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달러 표시 고정금리 미국 국채에 투자합니다.

 

TMF ETF. 수십 % 이익을 얻는 시점

 

TMF ETF 주가 차트

위 사진은 TMF etf 주가의 지난 6개월간 흐름입니다. 그리고 아래 그래프는 20년 장기 국채 금리(수익률)입니다. 2023년 10월 말을 기점으로 하여 20년 장기 국채 금리는 하락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11월부터 20년 장기 국채 금리가 5.2%에서 4.2%까지 약 1% 정도 하락하였습니다. 이 때 TMF ETF 주가는 39달러에서 67달러까지 상승하였습니다. 두 달만에 약 70% 상승하였습니다.

TMF etf 주가의 흐름을 이해하려면 우선 TLT 주가 및 장기 채권의 흐름을 이해하여야 합니다. 우선 넓은 관점에서 보면 주식 투자자들은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발표를 기대합니다.

그리고 꾸준히 TLT, TMF 등의 채권에 관심을 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예상을 하고 미리 투자를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준의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 시사를 신중히 하고 있습니다. 대신에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시사 발언을 할 때 TLT 주가가 더욱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당연히 3배 레버리지 상품인 TMF도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위 사진에 나와 있는 주가의 흐름을 보자면 최저 38.3 달러에서 12월18일에 65.92 달러까지 상승하였습니다. 불과 두 달만에 무려 72%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네요.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이 TMF 3배 레버리지 상품에 관심을 둘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TMF ETF. 그러면 또 언제를 노릴 것인가

 

TMF ETF 주가 차트

 

앞서 언급했듯이 2023년에 20년 장기 국채 금리가 5.2%에서 4.2%까지 약 1% 정도 하락할 때 TMF 주가는 약 70% 폭등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현재 채권 금리가 또 다시 1% 떨어지는 시기를 기다리면 될 것 같습니다.

위 그래프는 지난 10년간 TMF ETF 주가와 20년 장기 국채 수익률(금리) 그래프입니다. 2019년 1월 ~ 2020년 1월까지 약 13개월 간 금리는 1% 정도 떨어졌습니다.

이 때 TMF 주가는 196달에서 311달러로 60%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장기 국채 금리가 떨어지면 TMF 주가는 상승한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국채 금리의 하락은 예측을 할 수는 없습니다. 단지 위 20년 장기 국채 금리 차트를 보면 2020년에 1% 금리까지 떨어진 적이 있습니다. 바로 그 때 TMF 주가는 460달러까지 올랐습니다. 현재는 54.63달러입니다.(2024년 2월 9일 기준)

여기서 미래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기는 항상 순환합니다. 지금은 인플레이션 때문에 고금리 정책을 펼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나중에 경기가 침체되고 소비가 바닥일 상황이 올 것입니다.

그 때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풀고 금리를 낮춥니다. 그러면 TMF 주가가 다시 수백 달러 선까지 오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보다 훨씬 큰 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TMF ETF. 수수료

 

ETF 상품은 기본적으로 펀드를 운용하기 위한 수수료를 받습니다. 일종의 보수료라고도 하지요. 이 보수료는 각 etf 상품마다 그 비용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잘 아는 미국 S&P500을 추종하는 voo라는 etf는 수수료가 0.03%입니다. 그리고 tmf가 추종하는 TLT의 수수료는 0.15%입니다. voo 수수료의 무려 5배입니다.

그런데 3배 레버리지 상품인 TMF의 수수료는 무려 1.06%입니다. 큰 이익을 얻기 위한 상품인만큼 수수료도 상당히 높습니다.

 

TMF ETF. 위험성과 양날의 검

 

TMF etf는 레버리지 ETF입니다. 이는 상승장에서는 3배의 이익을 얻지만 하락장에서는 3배의 손실을 입는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억을 투자할 경우 50%가 상승하면 5천만원을 법니다. 그러나 50%가 하락하면 5천만원을 잃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도 불과 한 두 달만에 잃을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투자 심리가 그런 것 같습니다. 왠지 내가 투자를 하면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만 같은 마음이 들고 장밋빛 미래 상상이 되는 그런 것 말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장밋빛 미래가 절대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3배 레버리지 상품은 폭등과 폭락을 하는 양날의 검이기 때문이지요.

결국 투자 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할 것입니다. 투자의 기본인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적으로 바라보는 관점 말입니다. 3배 레버리지 상품인 TMF etf 매입은 신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관련 글

 

레버리지

2 thoughts on “TMF ETF. 금리 인하 시 수십 % 상승 수익을 잡아보자”

  1. 안녕하세요. 저는 TMF에 좀 많은 돈을 투자 하고 있습니다. 구입 가격이 $61 정도 입니다.

    이번 9월에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0.5bp 내렸는데도 불구하고 TMF 가격은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금리가 1% 정도 떨어지면 TLT는 17%, TMF는 약 50%의 수익이 난다고 해서 들어 갔는데 계속 떨어져서 답답합니다. 금리를 내렸는데도 왜 TMF 가격이 떨어지나요?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연준에서 금리를 0.5bp 더 내릴 예정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된다면 총 1bp를 내리게 되는데요. 만일 예정대로 금리를 내리면 TMF 가격이 크게 상승 할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응답
    • 주식 투자는 전문가도 예측하기 어려운 분야입니다. 저는 전문가가 아니기에 참고용으로만 답변 드립니다. 무시하셔도 됩니다. 1. 금리를 내렸는데도 tmf 가격이 떨어졌는가? 지금 보니 58.92달러입니다. 크게 떨어지지 않아 보이는데 계속 떨어진다고 하셔서 이 부분은 제 생각과 다른 것 같습니다. 2. tmf 가격이 크게 상승할까요? 이 부분은 워렌 버핏도 맞추지 못합니다. 주식 예측은 신 외에는 어느 누구도 맞히지 못합니다. 3. 그래서, 주식 대가들은 보통 대응이라는 것을 합니다. 실제로 워렌 버핏도 최근에 일부 주식을 매도하고 현금화를 실현해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했죠. 4. 워렌 버핏은 항상 원금 보존을 첫째 투자 원칙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대신에 댓글을 보니 많은 돈과 레버리지에 투자하셨네요. 주식 대가들은 우선 주식 투자는 없는 돈 셈인 것으로 하라고 했습니다. 그래야 원금을 잃어도 타격이 적으니까요. 그리고 주식 대가들의 포트폴리오에는 거의 레버리지 상품이 없습니다. 레버리지 투자는 위험하기 때문이죠. 4. 더구나 최근 1년간 tmf 가격을 보니 61달러는 고점에 해당합니다. 50달러에 살 수 있었던 기간이 충분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모 아니면 도식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진입 시점이 늦거나 고점이라고 생각하면 투자하지 않습니다. 5. 그리고 이미 45달러에서 61달러까지 올라갔네요. 주가는 선반영한다고 합니다. 연준에서 0.5% 인하한다고 몇 달 전부터 계속 늬앙스를 풍겼습니다. 그에 따른 선반영으로 이미 주가가 먼저 올랐을 수도 있습니다. 잘 생각해서 투자하셨으면 합니다~~

      응답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