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8일부터 ‘교원 장기재직휴가 제도’가 새롭게 시행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으로 교원도 나이스(NICE) 시스템을 통해 장기재직휴가를 직접 신청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신청 절차, 재직기간 확인법, 기준표,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교원 장기재직휴가는 일정 기간 이상 성실히 근무한 교원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휴가 제도입니다.
일반 연가와 달리 근속연수에 따라 휴가 일수가 달라지며, ‘오랫동안 교직 생활을 이어온 선생님들께 드리는 보상 휴가’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2025년부터는 나이스 시스템에서 간편하게 장기재직휴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학교 내 협의와 교장 승인, 그리고 지역교육청 보고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을 꼭 유의하세요.
💡 휴가 신청 전, 반드시 교내 협의를 거쳐 교육과정 운영에 지장이 없는 시기로 조율해야 합니다.
일부 교원분들이 나이스에서 아래와 같은 문구를 보셨을 텐데요.
“5년 이상 가능, 분할 사용 3회, 10년 이상 10일, 20년 이상 20일, 30년 이상 30일”
이 문구는 지방공무원 조례 기준이 잘못 반영된 오류입니다.
교원 장기재직휴가의 실제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재직기간(총 재직기간 기준) | 장기재직휴가 일수 | 분할 사용 가능 여부 |
---|---|---|
10년 이상 ~ 20년 미만 | 5일 | 1회 가능 |
20년 이상 | 7일 | 1회 가능 |
분할 사용은 반드시 1회 한정입니다.
예: 7일 중 5일 사용 후 나머지 2일 추후 사용 가능
장기재직휴가 일수는 공무원연금법상 총 재직기간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이는 연가 산정 방식과 동일합니다.
💬 군 복무 경력 등도 재직기간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으니, 본인의 경력 반영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Q1. 나이스에 10일, 20일, 30일로 표시되는데 맞나요?
A1. 아닙니다. 이는 시스템 오류입니다. 실제 기준은
– 10년 이상~20년 미만: 5일
– 20년 이상: 7일입니다.
Q2. 분할 사용은 몇 번까지 가능한가요?
A2. 1회에 한정됩니다. (예: 7일 → 5일 + 2일 사용 가능)
Q3. 군 복무 경력도 포함되나요?
A3. 네. 군 복무가 재직기간으로 인정된다면 장기재직휴가 산정에도 포함됩니다.
Q4. 휴직 기간도 포함되나요?
A4. 병가, 육아휴직 등은 근속 산정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복직 후 재산정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Q5. 신청 후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나요?
A5. 교내 협의와 학교장 승인을 거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학사일정 운영에 지장이 없는 시기여야 합니다.
교원 장기재직휴가는 오랜 교직 생활에 대한 정당한 보상입니다.
나이스 시스템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
본인의 총 재직기간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연도에 맞춰 꼭 휴가를 챙겨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노후 준비,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되시죠? 이번 글에서는 경상남도에서 전국 최초로 도입하는 ‘경남도민연금’ 제도에…
우주 산업이 다시금 뜨겁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민간 우주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그 뒤를…
정부와 지자체가 시력 교정용 안경 및 콘택트렌즈 구입비를 최대 5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가 시행 중에 있습니다.…